728x90 한눈에보는미국증시-2023년4월1일-PCE예상하회-주가상승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 2023년 4월 1일 - 다우지수 +1.26%, S&P500 지수 +1.44%, 나스닥 지수 +1.74%로 거래 마감하였습니다. -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은 3.48%, 유가는 WTI 기준 75.67 달러로 거래되었습니다. 미증시 주요 지수 - 뉴욕 증시는 미상무부가 발표하는 PCE 개인소비지출 인플레이션 경제지표가 시장 예상을 모두 하회하며, 물가 하락 추세 영향에 따라 미국증시 3대 지수 모두 1% 이상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미증시 주요 뉴스 - 2월 PCE 경제지표 모두 시장 예상 하회. - 은행권 Fed 대출 감소세. -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 62로 시장예상 하회. - 기준금리 25bp 인상 가능성은 유지. - 4월 초 발표되는 테슬라 1분기 인도 시장 예상은 43.2만 대 .. 2023. 4. 1. 경기침체와 주가하락 경기침체가 주가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주가는 최악의 실적과 경기가 나타났을 때 오히려 크게 하락하지 않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실제 침체 국면 시기에 오히려 주가가 반등했던 이유도 주가가 미리 최악을 선반영해 하락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막상 경기 침체가 오면 주가 하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 시기 - 경제 성장률과 증시 등락률 글로벌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면서 투자자들의 올 한 해 시장에 대한 우려가 가득합니다. 그러나 막상 과거 침체기를 살펴보면 실제로 침체가 나타난 해에 주가는 상승했었는데, 경기가 안 좋다 못해 침체 상황까지 갔는데 어떻게 주가가 올라갈 수 있었을까요? 이처럼 주가는 최악의 실적과 경기가 나타났을 때 오히려 크.. 2023. 1. 22.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2023년1월13일-12월CPI발표-주가상승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 2023년 1월 13일 미 증시 지수 -다우지수 +0.64%, S&P 500 지수 +0.34%, 나스닥 지수 +0.64%로 거래 마감하였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를 주시하며 장 초반 미증시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였으나, 국채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CPI 하락 예상이 이미 선반영 되어 주가 상승폭은 크지는 안았습니다. 미 증시 주요 뉴스 -1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 후 미증시는 상승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미연준은 2월은 25bp 인상을 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예상하였습니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금리를 25bp 인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시사하였습니다. -미국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 건수가 2.. 2023. 1. 13.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2023년1월12일-주가상승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 2023년 1월 12일 미 증시 지수 -다우지수 +0.80%, S&P 500 지수 +1.28%, 나스닥 지수 +1.76%로 거래 마감하였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오늘 발표되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에 대한 월가 예상치가 낮아짐에 따른 기대감으로 3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하였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가장 많이 상승하였습니다. 미 증시 주요 뉴스 -소비자물가지수 CPI 발표를 기다리며 미증시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항공시스템 전산망 오류로 국내선 출발 편이 한때 모두 올스톱 되었습니다.. -테슬라는 세번째 해외 공장을 인도네시아로 설립 예비 게약이 임박하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유로존 3분기 경상수지가 902억 유로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TX가 50억 달러.. 2023. 1. 12.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2022년12월30일-신규실업청구건수-주가상승 [한눈에 보는 미국증시] 2022년 12월 30일 미 증시 지수 -다우지수 +1.05%, S&P 500 +1.75%, 나스닥 지수 +2.59% 로 마감하였습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최근 하락을 주도하던 기술주의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고 실업보험 청구자 건수가 증가 추세를 주목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미 증시 주요 뉴스 -테슬라, 애플 등 낙폭이 컸던 기술주 위주로 일제히 반등하였습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5만건으로 지난달보다 0.9만건 증가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월가IB에서는 내년에 마일드한 경기 침체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제지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5만건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2주 이상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71만건으로 2월 후.. 2022. 12. 30. 이전 1 2 다음 728x90